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361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마음으로 성체 모시는 "신령성체" (神領聖體)

 

 

신령성체의 기도.png

 

 

교회는 신자가 영성체를 할 수 없는 경우에 성체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지니고 성체를 모시고자 원한다면 성체성사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이를 신령성체’(神領聖體)라고 부른다. 반대로 신자가 영성체를 해서는 안 될 경우임에 성체를 받아 모시는 경우가 있다. 이를 모령성체’(冒領聖體)라고 한다.

 

사제가 없어서 미사를 거행하지 못하고 말씀 전례만 거행할 경우, 병고나 다른 여러 가지 이유에서 미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대죄 중에 있으면서 고해성사를 받지 못해 영성체를 할 수 없는 경우, 혼인 무효 장애 때문에 지속해서 성체를 모시지 못하는 경우, 또는 아직 세례를 받지 않은 예비 신자일 경우에 신령성체를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이기는 하지만 미사 중에 축성된 빵(제병)이 모자라서 영성체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영성체를 하지 못하는 신자들이 신령성체를 하는 것입니다. 신령성체는 지극한 성체 신심의 또 다른 표현으로서 성체를 모시지 않고 마음으로 성체를 모셔도 같은 효과가 있다는 믿음입니다.

 

영성체를 하지 못한다고 미사 참여마저 하지 않는 신자들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영성체를 하지 못하더라도 미사에 참여하고 신령성체를 함으로써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모령성체는 은총의 지위에 있지 않은 신자가 스스로 중죄 중에 있음을 의식하면서 영성체를 하는 경우입니다. 모령성체는 성체에 대한 불경한 태도이며, 중죄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은총의 지위에 있지 않은 신자는 영성체하기 전에 하느님께 죄의 용서를 받고 교회와 화해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24년 본당사목지침 김규태(프란치스코) 2023.12.20 116
27 세계 이민의 날 국내이주사목위원장 담화 file 관리자 2018.04.27 111
26 2018년 교구장 주님 부활 대축일 담화문 file 관리자 2018.03.26 149
25 설 명절 금육재 관면 file 관리자 2018.02.07 159
24 2018년 사순 시기 교황 담화 file 관리자 2018.02.07 138
23 제26차 세계 병자의 날 담화 관리자 2018.02.07 118
22 2018년 축성(봉헌) 생활의 날 담화문 관리자 2018.02.03 119
21 마산교구 사제 인사발령 file 관리자 2018.01.11 426
20 2018년 교구장 사목교서 file 관리자 2018.01.02 165
19 2017년 교구장 성탄 담화문 관리자 2017.12.23 113
18 가을 달빛 음악회 file 관리자 2017.10.24 147
17 미사시간 변경 안내 file 관리자 2017.10.07 196
16 2017년 전교의 달 담화문 file 관리자 2017.09.28 99
15 청소년주일 교황담화 file 관리자 2017.05.18 133
14 홍보주일 교황 담화 관리자 2017.05.18 110
13 미사안내(5.15∼5.19) 관리자 2017.05.15 116
12 <b>77주년 본당의 날 file 관리자 2017.05.15 191
11 부처님 오신 날에 불자들에게 보내는 경축 메시지 관리자 2017.04.25 132
10 정의평화위원회, 제19대 대통령 선거 담화문 발표 관리자 2017.04.25 163
9 생명과 평화의 도보순례 file 관리자 2017.03.30 97
8 교황 성하의 사순 담화 file 관리자 2017.03.02 9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