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2022년 부처님 오신 날에 불자들에게 보내는 경축 메시지
(2022년 5월 8일)

희망찬 회복을 위하여 함께하는 불자들과 그리스도인들
 

 

친애하는 벗들인 불자 여러분, 

 

1. 부처님의 탄생과 열반과 깨달음을 기념하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는 전 세계 불자 여러분의 공동체에 진심 어린 인사를 전합니다. 

 

2. 인류가 수많은 위기를 직면하고 있는 때에 우리는 이 경축 메시지를 씁니다. 3년째 계속해서 전 세계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시작된 좀체 끝이 보이지 않는 보건 위기의 볼모로 잡혀 있습니다. 생태 위기와 관련된 잦은 자연재해는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시민인 우리의 나약함을 드러내 보여 주고 있습니다. 갈등은 계속해서 무고한 이들이 피를 흘리게 하고 사방에서 고통을 불러일으킵니다. 안타깝게도 폭력을 정당화하려고 종교를 이용하는 이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비탄에 잠겨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인류는 학문과 사상에서 그리고 수많은 아름다운 것에서 큰 진보를 이룬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러나 평화를 이루는 데에는 퇴보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사실에 우리는 모두 수치심을 느껴야 합니다”(프란치스코, 교황청 동방교회성 정기 회의 참석자들에게 한 연설, 2022.2.18.).

 

3. 이러한 위기가 불러온 비극에 대처하는 데에 연대의 조짐들이 보이지만, 지속적인 해결책의 모색은 여전히 지난하기만 합니다. 물질적 부를 추구하며 영적 가치들을 저버리는 일은 사회에 전반적인 도덕적 쇠퇴를 가져왔습니다. 불자와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화해와 회복을 찾아 나서는 인류를 지탱할 동력을 우리의 종교적 도덕적 책임감에서 얻어야 합니다. 자기 종교의 고결한 원칙들에서 힘을 얻는 종교인들은 작은 등불일지언정 희망의 등불이 되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 희망의 등불은 수많은 과오와 고통을 야기하는 영적 공허를 이겨내도록 인류를 이끄는 길을 언제나 밝혀 줍니다. 

 

4. 부처님과 예수 그리스도님께서는 비록 각자 다른 길을 통해서지만, 당신들을 따르는 이들을 초월적 가치로 이끌어 주십니다. 부처님의 고결한 진리는 고통의 기원과 이유를 설명하며 고통을 멈추는 팔정도(八正道)를 제시합니다. “그것은 갈애(渴愛)를 남김없이 빛바래게 하고 소멸시키며, 포기하고 놓아버리며, 벗어나고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초전법륜경[初轉法輪經, Dhammacakkappavattanasutta], 56.11). 우리가 그 가르침을 실천한다면, 그 가르침은 탐욕과 권력 행사로 이어지는 끊임없는 욕심에 대한 치유책이 됩니다. 복음은 결코 폭력을 해답으로 제시하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참행복은, 고삐 풀려 날뛰는 세상에서 우리가 영적 가치를 우선시함으로써 어떻게 회복되는지를 보여 줍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마태 5,1-12 참조). 비록 현재 어려움이 있다 할지라도 그들은 행복합니다. 그들은 행복과 구원의 하느님 약속을 굳게 믿기 때문입니다.          

 

5. 우리는 우리의 영적 전통 안에 숨은 보물들을 드러내어 인류가 회복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불자들은 팔정도를 통하여 사회 문제에 참여하고자 연민과 지혜를 함양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은 그 보물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희망은 우리에게 언제나 헤쳐 나갈 길이 있고, 길을 바꿀 수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 줍니다”(회칙 「찬미받으소서」 [Laudato Si’], 61항).

 

6. 우리는 희망이 우리를 절망에서 구해 준다고 확신합니다. 이에 저는 희망의 중요성에 관하여 존경하는 고(故) 팃낙한 스님께서 알려 주신 지혜를 나누고 싶습니다. “희망이 현재의 순간을 감내하는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내일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면, 오늘 우리는 고난을 견디어 낼 수 있습니다”(「모든 발걸음마다 평화」 [Peace is Every Step], 41-42). 더 나은 내일을 위하여 우리 함께 일합시다!

 

7. 친애하는 벗 여러분, 여러분의 부처님 오신 날 경축이 끊임없이 희망을 살아 있게 하고 현재의 위기로 발생한 역경을 달게 받아들이고 그에 응답하는 행동을 이끌어 내기를 바랍니다.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미겔 앙헬 아유소 기소 추기경
사무총장 인두닐 자나카라타나 코디투와꾸 칸카남라게 몬시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마산교구, 경상남도에 코로나 극복 성금 기탁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03.12 111
86 마산교구장 서리 임명장 및 번역문 김규태(프란치스코) 2022.09.07 103
85 마산교구청 신축공사 진행상황 (2/14)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2.02.14 125
84 마산교구청 신축공사 현장 상황 (2022년 5월 9일)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2.05.11 138
83 마스크 배부 및 구입요령 안내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03.07 137
82 마음으로 성체 모시는 신령성체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03.07 356
81 모바일로 헌금 낸다···세계 최초 '가톨릭페이' 출시 임박 김규태(프란치스코) 2022.09.21 163
80 미사시간 변경 안내 file 관리자 2017.10.07 192
79 미사안내(5.15∼5.19) 관리자 2017.05.15 113
78 미사재개에 관한 마산교구 지침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03.30 155
77 미얀마 사태를 접하는 한국 천주교 주교단 성명서 김규태(프란치스코) 2021.03.17 61
76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9일 기도(6.17∼6.25)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1.06.04 46
75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담화 관리자 2018.06.16 100
74 부처님 오신 날에 불자들에게 보내는 경축 메시지 관리자 2017.04.25 127
73 사목대담, 교구장에게 듣는다 프란치스코 2020.01.22 95
72 사순 제2주일 미사-신은근(바오로) 신부님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03.07 184
71 사형제도 폐지/종신형제도 입법화를 위한 서명 운동 file 관리자 2018.11.24 98
70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시행 행정명령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0.11.26 97
69 새 교구청사 축복식 연기 file 김규태(프란치스코) 2023.04.28 126
68 새 사제 인사 file 관리자 2017.01.12 33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